명제논리의 기초(4)에 나타난 추론규칙들을 전제로 해서 여러 가지 것들을 증명하겠습니다.
1. p→q ≡ ~q→~p (대우명제)
p→q ≡ ~p∨q
≡ q∨~p
≡ ~(~q)∨~p
≡ ~q→ ~p
2. (p→q) ∧ p ⇒ q (Modus Ponens)
(p→q) ∧ p ≡ (~p∨q)∧ p
≡ (~p∧p)∨(q∧ p)
≡ c∨(q∧ p)
≡ (q∧ p)
⇒ q
3. p→q ≡ (p∧~q) → c (reduction to absurdity. 귀류법)
p→q ≡ ~p∨q
≡ (~p∨q)∨c
≡ ~(p∧~q)∨c
≡ (p∧~q) → c
3의 경우, 귀류법을 정당화해주는 논리적 장치입니다. p가 전제이고 q가 결론일 때, p이고 ~q이면 모순이 된다는 것이 귀류법의 취지이죠.
4. (p→r)∨(q→s) ≡ (p∧q)→(r∨s)
(p→r)∨(q→s) ≡ (~p∨r)∨(~q∨s)
≡ (~p∨~q)∨(r∨s)
≡ ~(p∧q)∨(r∨s)
≡ (p∧q) → (r∨s)
5. (p→q) ∧ (p→~q) ≡ ~p
(p→q) ∧ (p→~q) ≡ (~p∨q)∧(~p∨~q)
≡ ~p∨(q∧~q)
≡ ~p∨c
≡ ~p
6. (p→q) ∧ (~p→q) ≡ q (dilemma. 양도논법)
(p→q) ∧ (~p→q) ≡ (~p∨q)∧(p∨q)
≡ q∨(~p∧p)
≡ q∨c
≡ q
6번 식은 수학에서 많이 쓰이는 논증법입니다. p를 가정해도 q가 나오고, ~p를 가정해도 q가 나온다면, 항상 q가 나온다는 의미입니다.
'학문 > 기초논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어논리(1) - 술어논리의 필요성과 술어의 의미 (2) | 2020.04.13 |
---|---|
명제논리의 기초(2')ㅡ진리표를 그리는 방법 (4) | 2014.04.29 |
명제논리의 기초(4) - 연역추론의 규칙들 (3) | 2014.03.21 |
명제논리의 기초(3) - tautology, contradiction (0) | 2014.03.21 |
명제논리의 기초(2) - 진리표 (5) | 2014.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