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글에서는 자연언어의 조건문과 실질조건문의 용례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번글에서는 실질조건문이 왜 어색하게 들리는가에 대한 이론을 볼 것입니다. implicature라는 개념을 도입해서 설명할 것인데 이 개념을 사용했던 Grice나 Jackson은 실질조건문과 (직설법적) 자연언어 조건문이 서로 진리값이 항상 동일하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나 일상에서는 앞선 글에서 보다시피 뭔가 어색하게 들리는 것들이 많습니다. 그에 대해서 왜 어색함을 느끼는지에 대해서 살펴볼 것입니다. 먼저 자연언어 조건문과 실질조건문이 진리값이 동일하다는 주장을 지지하는 논증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볼 수 있습니다.

0-1. 자연언어 조건문 if A then B와 not A or B는 서로 진리값이 동일하다.
우선 if A then B를 (직설법적) 자연언어 조건문이라고 하고 이 문장이 성립한다고 합시다. 배중률을 받아들인다면 not A or A가 참입니다. A가 참인 경우에는 if A then B에서 B를 추론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A가 참인 경우에는 B가 항상 참입니다. 따라서 not A 이거나 B입니다.
 역으로 not A or B가 성립한다고 합시다. 이때 A가 성립한다고 하면, not A는 거짓이므로 'or'가 진리함수적으로 분석될 수 있다면 B가 성립해야 합니다. 따라서 A를 가정하면 B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즉, if A then B입니다.

0-2. if A then B와 실질조건문 A→B는 진리값이 동일하다(혹은 자연언어적 조건문은 실질조건문으로 이해될 수 있다)
명제논리에서 ~A v B와 A→B는 서로 논리적 동치이기 때문에 두 조건문이 서로 진리함수적으로 같다는 말은 결국 if A then B와 ~A v B가 진리값에서 항상 동일하다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0-1에 의해서 if A then B는 not A or B와 진리값이 동일하고, or가 진리함수적으로 분석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A v B와 not A or B는 서로 진리값이 동일합니다. 따라서 0-2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이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자연언어 조건문과 실질조건문이 진리치가 동일하다면 왜 일상적으로 어색하다고 느껴지는 사례들이 존재하는지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설명들이 존재합니다.

1. Implicature
 implicature는 함축이기는 하지만 (logical) implication과는 달리 조건문으로 이어지는 두 명제 사이에 일종의 약한 함축만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기 위해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가령 어떤 물건을 사는데 "이거 너무 비싸요"라고 말한다면 이 문장은 이 물건값을 깎아달라는 말을 함축합니다. 그러나 고전논리학적으로는 두 문장 사이에 아무 연관성이 없습니다. 왜 실질조건문과 자연언어의 조건문이 차이가 나는지에 대해서 두 가지 이론이 존재합니다.

1-1. Conversational Implicature(Grice)
 말하자면 일상대화에서는 대화맥락 사이에 숨겨진 어떤 전제들이나 목적이나 여러 상황들이 작용하기 때문에 여러 문장들이 생략되고 사용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대화란 대개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대개 대화상대자들 사이에서는 몇 가지 대화의 준칙(maxims of conversation)이 존재합니다.

(a)quality
(b)quantity
(c)relevance

 (a)는 대화를 할 때는 자기가 믿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해야 한다는 것이고, (b)는 자신이 아는 한에서 최대한의 것을 이야기해야한다는 것이고 (c)는 대화상황과 관련된 것을 이야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즉 관련되지 않은 것은 배제). 세 가지 중에 하나만 성립하지 않아도 우리는 대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거나 나중에 가서 그건 올바른 대화가 아니었다고 생각합니다.
 가령 난민문제를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에게 '난민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해?'라고 질문받았을 때 그에 대해서 난민들의 부정적인 측면을 이야기하는 사람이 난민문제를 긍정적으로 보는 사람에게 같은 질문을 받았을 때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하는 이야기를 했다고 합시다. 그 사람은 사람들의 의견에 잘 맞추는 사람이었다고 합시다. 나중에 그 사람이 실제로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음을 알았을 때 사람들은 "그건 내가 원하던 대화가 아니었다"고 할 것입니다.
 (b)에 대해서는 많은 말장난이 존재합니다. 가령 "(진실은 아니지만) 거짓말은 하지 않았다"는 수많은 사례들이 이에 속합니다. 나무위키에 수많은 사례가 있습니다. https://namu.wiki/w/%EA%B1%B0%EC%A7%93%EB%A7%90%EC%9D%80%20%ED%95%98%EC%A7%80%20%EC%95%8A%EB%8A%94%EB%8B%A4


 가령 친구가 자기가 사는 곳 근처에 놀러오는데 자기가 아는 음식점이 없어서 근처에 사는 친구에게 맛집을 물어봤다고 합시다. 근데 그 음식점은 토요일에는 닫는 곳이었고 그 친구는 그걸 알았다고 합시다. 친구의 조언을 받은 친구는 근처온 친구와 토요일에 갔다고 합시다. 사실을 알고나면 매우 화가날 것입니다. 그 이유는 일상대화에서는 '대화상황과 관련하여 자신이 아는 사실을 최대한 서술하라'는 원칙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친구가 대화의 원칙을 무시했기 때문에 당한 사람은 뒤돌아보고 그건 올바른 대화가 아니었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c) 교수님과 시험결과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고 합시다. 그때 교수님께 "그 학생은 공부잘해요?"라고 말했을 때 교수가 "그 학생 머리는 좋은데.."라고 말한다면 사람들은 "아 머리는 좋은데 성적은 잘 안나오는구나"하고 이해할 겁니다. 왜냐면 대화맥락과 관련없는 발언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 학생 머리는 좋은데.."에서 "인성은 별로야"라든가 "수업시간에 잠을 많이 자"를 의도하였다고 보지 않을 것입니다.

 고전논리학과 관련해서는 ~AㅑA→B의 어색함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고전논리에서는 A→B와 ~A v B는 논리적 동치이고 따라서 ~Aㅑ~A v B를 분석해보는 것으로 어색함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는 (b)준칙에 어긋납니다. ~A가 주장되었으면, ~A v B 중에 더 강한 주장은 ~A이고 따라서 ~A임에도~Av B를 결론으로 내세우는 것은 적은 정보를 내세우는 것입니다. B라는 쓸데없는 주장을 더한 겁니다. 더욱이 B가 A와 전혀 관련없는 주장이면 더욱 이상하다고 느낄 것입니다.
 BㅑAB 역시 Bㅑ~A v B이고 B에서 쓸모없는 주장인 ~A를 더하여 B를 주장하지 않고 ~A v B를 주장했기 때문에 어색하다는 것이 conversational implicature에 따른 설명입니다.

Posted by 괴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