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적인 기호에 대한 응용예제
1. ∀x(Fx∧Gx→Hx) = 모든 x가 (개념/함수) F와 G를 만족하면, x는 H를 만족한다(혹은 x는 H에 속한다).
2. ∃x(Fx∧¬∃y(Fy∧x≠y)) = x는 F를 만족하고, F를 만족하면서 x와 같지 않은 y는 존재하지 않는다
= F를 만족하는 변수는 x밖에 없다
= x만이 F를 만족한다
=there exist only one thing that satisfies F
3. ∃x(Fx∧∀y(Fy→x=y)) = x는 F를 만족하고, 모든 y에 대해서 y가 F를 만족한다면 x=y이다.
= F를 만족하는 변수는 한개밖에 없다
= 2번 예제와 동일한 식
2와 3에 대해서 부언하자면,¬∃xFx ↔ ¬∀xFx가 성립합니다.
즉, 'F를 만족하는 x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모든 x는 F를 만족하지 않는다'는 같은 의미입니다.
이를 응용해서, 2번 식에서 ¬∃y(Fy∧x≠y)는 부정기호 ¬와 ≠를 동시에 사용해서, ¬∃y(Fy∧x≠y)는 ∀y(Fy→x=y)와 같은 의미를 지니게 됩니다.
4. ∃x∃y(Fx∧Fy∧x≠y∧¬∃z(Fz∧(z≠x ∧ z≠y)))
= x는 F를 만족하고, y는 F를 만족하면서 x와 y는 같지 않다(F를 만족하는 변수가 최소 2개가 존재한다)
+F를 만족하면서 x와 같지도 않고 y와 같지도 않은 z는 존재하지 않는다
= F를 만족하는 변수는 2개밖에 없다(최소 2개있고, 최대 2개 있다)
5. ∃x∃y(Fx∧Fy∧x≠y∧∀z(Fz→(z=x ∨ z=y)))
= x는 F를 만족하고, y는 F를 만족하면서 x와 y는 같지 않다 + 모든 z에 대해서 z가 F를 만족하면 z는 x와 같거나 y와 같다.
=F를 만족하는 변수는 2개밖에 없다
4번 식과 5번식 역시 같은 의미를 지니므로
∃x∃y(Fx∧Fy∧x≠y∧¬∃z(Fz∧(z≠x ∧ z≠y))) ↔ ∃x∃y(Fx∧Fy∧x≠y∧∀z(Fz→(z=x ∨ z=y))) 입니다.